탄력적 IP를 사용하는 이유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탄력적 IP를 설정해줘야 한다.

인스턴스에 설정된 퍼블릭 IP는 서버를 키고 끌때마다 새로운 것으로 갱신이 되는데,

이를 하나의 IP로 통일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설정하지 않으면 서버를 키고 끌때마다 새로운 IP가 생성이 된다. )

image.png

그러나 위 그림과 같이 탄력적 IP를 ENI라는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면,

아무리 인스턴스를 끄고 켜도 IP의 주소는 변동되지 않는다.

(* 참고로 ENI는 Elastic Network Interface인데,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하나의 가상 랜카드라고 생각을 하면 된다.)

주의!!

EIP는 하나의 EC2에 하나를 연결할때는 무료이지만, 예를 들어 연결된 EC2가 갑자기 중단이 되어버리면 과금이 발생한다.

탄력적 IP 생성 후 EC2 연결

image.png

다음과 같이 탄력적 IP를 먼저 생성을 한다.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