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란 “Amazon Elastic Comptute Cloud” 의 줄임말이며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여기서 Elastic은 한국말로 “탄력적인 & 신축성 있는”이라는 의미이다.
아무래도, AWS는 유저가 원하는 만큼 볼륨을 증가하고 감소할 수 있는 탄력적인 특징이 있는데, 그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추측해 본다.

위는 실제 물리적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위 구성을 EC2의 서비스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팅 - 인스턴스
하드 디스크 - EBS
랜카드 - ENI
인스턴스는 간단하게 말해서 “AWS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가상 컴퓨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이 인스턴스 안에는 “유형”이라는 것이 있다.
우리는 컴퓨터를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게임용, 서버용, 데이터 저장용….
여기서 우리는 개발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연산 능력이 많이 필요하면, CPU에 더 투자를 하면 되고,
저장소로서 사용을 해야 한다면, 메모리에 더 투자를 하는 등 사용자가 그에 걸맞는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다.